React 또는 React Native를 시작한 폴더를 git bash를 통해 github에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볼 것이다.
우선 github에 프로젝트 폴더를 연동할 Repository를 만들어야 한다.
딱히 다른 설정을 바꿀 필요는 없고, 프로젝트 폴더를 다른 사람에게 공개하고 싶다면 Public, 아니라면 Private을 선택하면 된다. Repository Name을 설정한 후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누른다.
github에서 repository 페이지를 꽤나 친절하게 꾸며놓았기 때문에 시키는 대로 따라하면 된다.
우선 해당 프로젝트 폴더에서 git bash를 켜고 git을 시작할 준비를 한다.
git init
그리고 아까 만든 github repository 페이지로 돌아와서 아래쪽 박스의 명령어를 차례로 입력하면 된다!
(github repository마다 첫 번째 줄의 링크가 다르니 반드시 각 페이지에서 복사해서 입력하길 바란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0xseo/imsi.git
git branch -M main
git push -u origin main
첫 번째 줄은 이미 만들어진 repository와 연동하겠다는 뜻이고 (필수)
두 번째 줄은 시작 브랜치 이름을 default값인 master에서 main으로 이름을 바꾸겠다는 의미다. (선택)
마지막 줄은 그렇게 이름을 바꾼 main 브랜치를 시작점으로 하여 깃헙 페이지에 등록하겠다는 의미다. (필수, 'main'은 바꿀 수 있음)
그렇게 하면 이미 제작한 프로젝트 폴더가 해당 repository에 올라가게 된다!
Git은 협업할 때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어떤 프로젝트이든 연동을 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협업할 때뿐 아니라 혼자 공부하는 프로젝트에서도 노트북, pc 등 기기를 오가는 경우 git을 이용하면 쉽게 동기화하며 개발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협업에 대비하여 혼자 공부할 때부터 브랜치 관리, 커밋 컨벤션 등을 훈련하며 익숙해지는 것을 추천한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commit message 작성 및 적용하기 (commit convention) (0) | 2024.04.01 |
---|